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5년내 바이오벤처 147곳→1천곳 양산(?)...'글로벌 신약 1개 허가'기대

기사승인 2018.01.11  22:20:29

공유
default_news_ad2

맞춤형 항암제 2개-백신지급률 70% 끌려 올릴 예정
환경성 질환 의료비 지출 1792억 절감-정신의료서비스 이용률 20% 확보도
송시영 "국민 건강 증진 결과물 제품화, 보건의료 R&D 산업화 생태계 처음과 끝"
11일 '제2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2018~2022년)'의 중장기 전략 발표

정부가 향후 5년내에 백신지급률을 70%로 끌어올리고 맞춤형 항암제 적응제 확대 2건, 신약허가 신청 1건 등을 고비용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전략적 투자와 예방 관리중심의 미래의료 기반 확충에 나설 계획이다.

또 정신의료서비스 이용률 20%를 확보하고 환경성 질환 의료비 지출 1792억원의 절감 목표와 함께 국민의료비 5조원을 아낄수 있는 전략적 투자 복안도 펼칠 방침이다.

이에 보건의료 R&D 정책 강화를 위해 보건의료 기술이전 전담조직을 기존 53곳에서 120곳으로 늘려 잡는 한편 이에따른 바이오벤처도 기존 147곳에서 1천곳까지 확보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공도 주최로 열린 '보건의료 R&D혁신을 위한 대국민 토론회'에서 송시영 복지부 R&D 중장기기획단장(연세대 의과학장)이 '제2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2018~2022년)'의 중장기 전략의 목표를 발표하고 있다.

송시영 복지부 R&D 중장기기획단장(연세대 의과학장)은 1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공도 주최로 열린 '보건의료 R&D혁신을 위한 대국민 토론회'에서 이같은 내용의 '제2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2018~2022년)'의 중장기 전략의 목표를 발표했다.

그는 "제2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 핵심은 3대 전략 및 9대 중정과제로 집약될수 있다"며 "고비용 건강문제 해결하는 전략적 투자 분야의 경우 '국가 치매책임제와 연계해 전주기 R&D 지원', '자살율 1위 등 정신건강 증진 R&D', '미세먼지, 환경호르몬, 생활화학물질, 위생용품 등 환경성 질환 극복 R&D', '건강 보장성 확대를 뒷받침하는 의료기술 최적화' 등 추진과제를 통해 백신자급률을 기존 50%에서 70%로 끌어 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정신의료서비스 이용률 또한 기존 15%에서 20%로, 조기진단 정확도를 기존 80%애서 95%로, 환경성질환 의료비 1792억원의 절감 등 국민의료비 5조원을 아끼는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예방 관리 중심의 미래의료 기반 확충에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확산', '만성질환 난치병 극복을 위한 첨단 바이오재생의료 지원', '생애주기별 예방 건강관리를 위한 융합기술 활용', '혁신기술의 의료 융복합 의료효율성 제고' 등을 통해 맞춤형 항암제 적응제 2건 개발, 글로벌 신약허가 신청 1건, 임상연구 활성화 위한 법적 기반 마련, 인공지능 학습센터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송 단장은 "혁신성장을 선도하는 미래형 신산업 육성의 일환으로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력 강화', '첨단 융복합 의료기기의 의료현장 활용 촉진', '치의학 한의학 화장품 산업' 등 육성을 통해 국가별 신약 임상시험 점유율 기존 8위에서 5위로, 국산 의료기기 시장 점유율 기존 39%서 45%로, 치과 난치성 질환 치료제 수복제 개발 3건, 한약제제 신약 자료제출의약품 승인 5개, 세계 화장품 시장 순위 기존 8위에서 7위로 한단계 도약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아울러 R&D 성과 가치 성장 촉진을 위해 '기술사업화로 이어지는 R&D촉진', '창업-성장-투자 회수로 이어지는 생테계 조성' 등을 통해 보건의료 기술이전 전담조직을 기존 53곳에서 120곳으로, 바이오벤처 창업도 기전 147곳에서 5년후 1천곳으로 늘려 나가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도 나설 계획이다.

▲11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공도 주최로 열린 '보건의료 R&D혁신을 위한 대국민 토론회'.

송 단장은 "4차 산업혁명은 외국의 트랜드에 따른 키 워드를 따 우리나라에 적용한 것이며 즉 기존에 기술 중심의 연구비 확보에 대한 분위기가 팽배돼 있다. 사실 제2차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에선 이런 프래임을 어떻게 바꿔 나갈 것인지에 대해 큰 그림을 그려보려 했다"며 "그래서 기술 중심이 아닌 국민 중심, 환자 중심으로 R&D가 가야 된다. 이를 복지부가 주도적으로 역할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갖게 됐다"고 2단계 계획의 취지를 언급했다.

그는 "지난 정부에서 보건의료분야에 투자를 해 왔지만 인구 5천만인 우리나라가 인구 8백만의 스위스보다 가시화를 위한 효율성 증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가 전체 R&D 20% 이상을 쓰는 미국과 영국과 달리 10%도 안되는 R&D속에서 어떻게 투자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것이냐, 투자비 증대는 중요하다"며 "하루아침에 되지 않을 것이다. 보건의료 연구개발이 국민 건강 목적하에 뿔뿔히 흩어져 있는 거버넌스의 비효율성을 효율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어떤 요소가 가장 접근을 쉽게 할수 있갰겠느냐에 대한 고민끝에 결국 문화였다"고 말했다.

송 단장은 "문화의 변화는 연구자의 변화, 관·부처의 문화의 변화는 결국 기술개발을 위해 연구비를 따 내는 것이 아닌 양질의 기술을 통해 어띤 잇점을 줄 것이냐는 문화 변화에 촛점을 맞췄다"며 "연구개발 산업화는 어느 나라든지간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노력을 하다보니 결과물이 나온 것이고 그 결과물을 적용해야만 사람들이 건강해질수 있다면 기업체 스스로가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이 생태계가 보건의료 생태계의 처음과 끝"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우리는 기술중심의 산업에만 조급하게 단기간의 결과에 집중해 오지 않았느냐"고 지적하고 "보건의료산업의 5년간 시간은 절박함이다. 이를 극복을 못하면 모든 산업이 쉽지 않은 상황에 놓일수 있다"며 "어짜피 거버넌스 통합이 안될바에는 문화를 바꿔서 빨리 갈수 있는 틀 밖에 없다"고 주문했다.

즉 대학에서는 아이디어 창출과 산업화 방안에 대해선 개인 섹터가 결정하는 과정에 정부는 이 양쪽을 도와줄수 있는 연결고리 역할의 인프라를 어떻게 만들어갈 것이냐는 주장이다.

이인선 기자 eipodo@naver.com

<저작권자 © 데일리메디팜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